2024년

[1] 수산과학연구분야 인공지능(AI) 기술 날개를 달고 날아오르다!

수산과학연구분야 인공지능(AI) 기술 날개를 달고 날아오르다!
  • 참조기 측정 빅데이터(체장·체중, 성숙도 등)를 인공지능에 학습시켜, AI가 성숙단계를 독자적으로 판별하고 성숙체장 추정 가능*
      * 판별 정확도 향상, 분석 시간 단축, 판별자의 주관이 배제되어 일관성 있고 신뢰도 높은 판별 지속
  • AI활용 개체굴 등급판정을 위한 “비만도” 평가방법 개발*
      * 데이터 수집 → 이미지 자동라벨 → DL모델 적용 → YOLO모델 적용 → 데이터 검출
      ※ AI 모델 측정 결과와 실측값이 90% 이상 일치
  • 24시간 해양포유류 종식별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AI 종식별 서비스 실시
      * (기존) 업무시간 중 담당자 직접 응대 → (개선) 24시간 AI 자동분석에 의한 실시간 대응
  • AI 모델 활용을 통한 업무 효율화로 인력·예산·시간 경감 효과 및 서비스 만족도 제고

[2] 국내 최초 어린 대문어 시험양식 성공

국내 최초 어린 대문어 시험양식 성공
  • 국내 최초 대문어 유생 300일 이상 사육 성공*
      * 유생시기 생존율 향상을 통한 어린 대문어 유사형태까지 사육 중
      ※ 생존일수: (’20) 99 → (’21) 104 → (’22) 164 → (’23) 123 → (’24) 사육중(12.31. 기준 334일)
      ※ 생존율(100일령): (’20) 0→(’21) 0.03→(’22) 0.08→(’23) 0.5→(’24) 22.6%
  • 유생 성장단계별 행동 특성 파악을 통한 사육환경 및 사육관리 개선*
      * 부유생활~바닥생활단계 맞춤 먹이 공급체계 및 은신처 제공 등 사육환경 개선
  • 동해 특산품종 양식기술 개발 기반 마련 및 고부가가치 미래 전략 양식품종으로 육성 기대

[3] 해양환경 환경오염물질 분석 기술개발 및 공정시험기준 등재

해양환경 환경오염물질 분석 기술개발 및 공정시험기준 등재
  • 우리 원은 UNEP 협약 이행을 위해 해양환경 POPs 조사·분석*
      * 신규 오염물질 포함 12종의 POPs에 대해 양식어장 모니터링 수행(국내·외 환경기준치 이하로 검출)
  • 국제협약 신규 오염물질 2종(브롬계난연제, 과불화화합물) 분석법 개발*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표준분석법 등재를 위해 국민의견 적극 수렴/ (’23) 36건 → (‘24) 50건
  • 2024년 제10회 해양수산과학기술대상 우수학술 부문 ’우수상‘ 수상
  • 국가 표준 분석법 개발 및 공정시험기준 등재로 어장환경 안전성 확보

[4] 원양어업 대표어종인 이빨고기 신규 어장 과학조사 쿼터확보

원양어업 대표어종인 이빨고기 신규 어장 과학조사 쿼터확보
  • (남태평양/SPRFMO) 한국 단독으로 시험조업계획서가 과학위원회 권고를 통해 아시아 국가로는 처음으로 이빨고기 신규 어장 개척에 따른 조업* 예정
      * 3년(‘25∼’27)간 연 240톤(약 100억원)으로 ‘25년 2월 연례회의에서 최종 승인
  • (남극해/CCAMLR) 기존 수행해 온 88.3해구에서 과학적 기여 지속(3년, ‘25∼’27) 및 신규 어장(48.6해구)에 대한 국제공동과학조사 계획서 추가 승인(4년, ‘25∼’28)
      * 88.3해구(한-우, 94톤)와 48.6해구(한-일-스, 198톤)에서 연 292톤(약 120억원) 과학조사 쿼터 확보
  • 신규 원양어장 개척에 따른 어획쿼터 532톤 확보 및 국제수산관리 기구에 과학적 기여

[5] 해양포유류 혼획저감 연구로 수출도 지키고, 고래도 살리고!

해양포유류 혼획저감 연구로 수출도 지키고, 고래도 살리고!
  • (어구개발) 주요 5개 어업의 해양포유류 혼획저감 어구 개발*
      * 안강망 상괭이 탈출장치 및 정치망 방류장치 모니터링, 트롤어구 탈출장치 및 통발·자망용 장력유지형 부푯줄 시스템 개발 등
  • (국제대응) 연구결과의 국제적 인정 등을 통한 美측의 MMPA 압박 대응*
      * 안강망 내 상괭이 탈출장치 부착으로 해양포유류(상괭이)의 혼획 문제가 ‘완전히 해결’ (IWC SC 요약보고서 인용/‘24.9.)되었음을 국제적으로 인정
      ** 美측 Ropeless 시스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우리 원이 개발한 장력유지형 부푯줄 등 대응책 제시
  • 연구성과 기반의 MMPA 대응으로 안강망 등 면제어업(미국 수출가능) 분류 기대

[6] 토종 용다시마의 부활, 블루푸드로 거듭나다!

토종 용다시마의 부활, 블루푸드로 거듭나다!
  • 용다시마 소비 활성화 방안* 마련
      * 용다시마 추출물의 변비개선 효능관련 특허출원 및 식품원료 등재
      ※ 특허기술명: 용다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10-2023-0095919)
  • 용다시마 변비개선 제품 출시* 및 업무협약 체결**
      * 용다시마 건조분말과 기능성 인증원료를 혼합한 환으로 제품 출시(’24.6.)
      ** ㈜해피엘앤비와 수산물 활용 고부가가치 산업화 추진 업무협약 체결(’24.8.)
  • 토종 해조류 복원을 통한 환경·생물학적 가치, 연구결과의 산업화를 통한 경제적 가치, 국민건강 증진의 공익적 가치 등 다양한 사회적 가치 창출

[7] 세계 최초 동물질병 진단 표준물질 개발 및 국제지위 획득

세계 최초 동물질병 진단 표준물질 개발 및 국제지위 획득
  • 동물질병 진단 표준물질 구축 기술개발*
      * 거짓 양성·음성 방지, 범용성 진단 표준물질 개발, 국제유효성(EU) 평가 완료
  • 세계 최초 ‘동물질병 진단 표준물질’ WOAH 협력센터* 지정
      * 다부처(우리 원-농림축산검역본부) 구축을 통한 검역 과정에서의 표준화 문제 해결
  • 우리나라 진단 표준물질을 전 세계가 활용함으로써 수출·입 검·방역 비용 절감 및 국가별, 기관별 정확하고 동일한 진단 결과 도출로 분쟁 해결

[8] 세계 최고 수준의 넙치 표준유전체 지도 완성

세계 최고 수준의 넙치 표준유전체 지도 완성
  • 세계 최고 수준의 넙치 표준유전체 지도 완성*, **
      * 육종연구센터의 체계적 넙치 생물정보와 충남대학교의 첨단유전체 분석 역량의 협업성과
      ** 세계 최초로 모계·부계 유전 정보가 분리된 암컷·수컷 넙치 표준유전체 개발
  • 한국 넙치 표준유전체 기반의 넙치 유전체 선발육종 연구 수행 가능
  • 다형질(속성장·내병성·환경내성) 우량품종의 신속 개발로 어민 소득증대 기여
  • ※ 우수 학술지 논문 게재 완료: Scientific Data(2024, 네이처 자매지)

[9] 수산 유산균 활용 장 건강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개발

수산 유산균 활용 장 건강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개발
  • 수산물 유래 기능성 유산균 2종(락토코커스, 와이셀라) 확보
  • 미생물 유전체 해독·분석 등을 통한 균주 안전성 입증
  • 유산균 산업화 배양 조건 및 단독·복합 면역증진 효과 구명
      * 특허기술명: 면역 증진 효과를 갖는 락토코커스속 균주와 와이셀라속 균주
  • 수산 유산균 활용 장 건강 개선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출시·판매
      * 제품명: 리튠 장 건강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출시(‘24.7~)
  • 민간기업 협업을 통한 수산물유래 유산균 제품화로 국민건강 증진 기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