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연구

수산식물품종관리센터

수산식물품종관리센터
신속 · 정확 · 공정! 공정한 심사를 통한 지식재산권을 보호하겠습니다.
품종보호제도의 효율적 운영으로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식재산권 보호강화 및 투명한 종자 유통으로 종산삽업을 활성화 시키겠습니다.

연혁

수산식물품종관리센터 연혁 상세정보
2012.03.26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식물품종관리센터 신설
2015.10.16 전략양식부 수산식물품종관리센터
2021.01.01 연구기획조정부 수산식물품종관리센터
2023.08.01 양식산업연구부 수산식물품종관리센터

비전

품종보호권 강화로 21세기 종자산업 강국 실현

미션

  • 1품종보호제도의 효율적 운영으로 국가 경쟁력 강화
  • 2지식재산권 보호 강화에 의한 신품종 개발 촉진
  • 3투명한 종자 유통으로 종산산업 활성화

업무방향 및 추진과제

연구방향, 추진과제로 구성된 표
연구방향 추진과제
  • 공정한 심사를 통한 지식재산권 보호
  • 출원품종 재배심사
  • 품종의 특성평가 및 심사기술 개발
  • 미토콘드리아 게놈 분석을 통한 김 품종 구분 마커 개발

출원품종 심사과정 및 재배심사 체계도

출원품종 심사과정 : 김, 미역, 다시마 → 신품종 출원 → 출원서류 심사 → 통과 시 품종보호권 등록, 거절 시 거절사정 → 품종보호 요건(신규성, 구별성, 균일성, 안전성, 품종명칭), 재배심사(종묘배양-육상, 양성시험-바다) 재심사하여 통과 시 품종보호권 등록
재배심사 체계도(김) : 1.출원품종 : 재배심사 계획서 작성, 대조 및 참조품종 선정 → 2. 사상체 배양 : 유리사상체 증식 → 3. 사상체 패각이식 : 패각사상체 형질조사 → 4. 양성시험(출원, 대조, 참조품종) : 질적, 양적 형질조사, 2주 간격으로 조사 →  5. 재배시험 결과 심사(구별성, 균일성, 안정성) / 엽체모양(가시있음/가시없음), 심사 통과 못한 경우 2~4번 단계를 반복시험